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Android
- 백준 온라인 저지
- Kotlin
- ios
- iOS개발
- dfs
- Autolayout
- 안드로이드 공부
- Level 1
- Clean Architecture
- BFS
- 프로그래머스
- Algorithm
- 공부
- 알고리즘 공부
- 그리디 알고리즘
- 백준온라인저지
- 정렬
- 알고리즘
- greedy algorithm
- error
- UIKit
- Swift공부
- 오토레이아웃
- 파이썬 풀이
- 파이썬
- swift
- SwiftUI
- Python
- 앱개발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88)
Tori의 개발 공부

열거형이란? 연관 항목들을 묶어서 표현할 수 있는 타입으로 정의된 값 외에 추가/수정이 불가하다. 즉 정해진 값만 속할 수 있다. 열거형을 사용할 때 제한된 선택지를 주고 싶을 때 정해진 값 외에는 입력받고 싶지 않을 때 예상된 입력 값이 한정되어 있을 때 기존 언어 열거형과 swift열거형의 차이 기존 언어 열거형 각 항목의 값이 정수 타입으로 기본 지정된다. 즉 정수 타입 값의 별칭으로 사용되었다. swift 열거형 각 항목이 그 자체로 고유의 값을 가진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열거형이 존재한다고 하면 각 항목이 암시적으로 0,1,2,3.. 의 정수 값을 가지는 기존 언어와 다르게 각 항목 그대로 mon, tue,... 온전한 값을 가진다. enum Week{ case mon case tue ca..

옵셔널(Optional)이란? Optional은 값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옵셔널이 아닌 값에 nil을 할당할 수 없는데, 이때 nil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옵셔널을 사용해야 한다. 옵셔널 사용 이유 nil이 있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명시적으로 표현 안전성을 높여줌 - 전달값이 옵셔널이 아니라면 nil체크 불필요 - 예외 상황을 최소화하는 안전한 코딩 옵셔널 선언 방법 일반적으로 물음표(?)를 붙여 옵셔널을 선언하지만 옵셔널의 명확한 표현 방법은 Optional 이다. var name:String? var name:Optional 두 선언 모두 사용가능하며 같은 뜻을 가진다. 이렇게 옵셔널로 선언한 변수에는 nil을 할당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옵셔널을 기존 변수처럼 연산을 하..

기본 함수 사용법 func 함수 이름(매개변수 이름 : 매개변수 타입) -> 반환 타입{ 함수 구현부 return 반환값 } 다음과 같은 형태로 사용하며 매개 변수가 없을 경우 빈 괄호()를 사용한다. 반환 값이 없을 시에는 반환 타입을 Void로 작성하거나 func 함수이름(매개변수){ } 처럼 반환 타입을 생략할 수 있다. 기본값이 있는 매개 변수 매개 변수에 기본값을 지정해주어 해당 매개 변수의 값이 전달되지 않았다면 기본값을 사용한다. 기본값이 없는 매개변수는 대체로 함수에서 중요한 값을 전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기본값이 없는 매개변수를 앞에 작성하고 기본값이 있는 매개 변수는 뒤에 작성해 준다. func 함수이름(매개 변수1:타입, 매개 변수2:타입 = 기본값) -> 반환 타입{ 함수 구현부..

Stack View란? stack view란 오토레이아웃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등장하였다. 요소를 세로(Vertical Stack View) 혹은 가로(Horizontal Stack View) 방향으로 묶어주는 역할을 한다. Stack View의 경우 콘텐츠들이 나열돼있는 방향을 토대로 수직 혹은 수평 방향을 자동적으로 적용해 준다.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자동으로 스택뷰로 정렬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자동적으로 방향을 잡아 정렬해주지만 Axis 속성을 통해서 방향을 바꿔줄 수 있다. Stack View Property 스택뷰에는 크게 다섯가지의 속성이 있다. axis : 스택 뷰의 방향(수직, 수평)을 정의한다. (UIStackView만 해당) orientation : 스택 뷰의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