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파이썬 풀이
- Kotlin
- 공부
- Clean Architecture
- 앱개발
- ios
- 백준 온라인 저지
- 정렬
- Level 1
- 프로그래머스
- SwiftUI
- Swift공부
- Algorithm
- error
- Android
- Autolayout
- 그리디 알고리즘
- dfs
- 안드로이드 공부
- iOS개발
- swift
- 오토레이아웃
- 알고리즘
- greedy algorithm
- 파이썬
- UIKit
- BFS
- Python
- 알고리즘 공부
- 백준온라인저지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product language (1)
Tori의 개발 공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mEVnN/btsIQnExR0L/OMvhzJikOsv3ojABO5sKBK/img.png)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서 앱을 기획을 점검하는 도중 AOS와 iOS 간의 의사소통에서 같은 컴포넌트라도 서로 지칭하는 언어가 달라"아 그게 ㅇㅇㅇ을 말하는 거죠?"라는 질문을 하는 일이 많았다.디자이너 또한 지칭하는 언어가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해 앱에 사용될만한 모든 컴포넌트들에 대해 정리를 해두고 디자이너분의 합류와 동시에 Product Language를 정립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iOS의 네비게이션바의 경우 AOS에서는 AppBar라고 불리며 오히려 하단 탭바를 네비게이션이라고 불렀고, 디자이너의 경우 화면 전환을 전반적으로 이르는 말을 네비게이션이라고 하였다.토스트 메시지나, 스낵바 등 iOS는 없지만 AOS에만 있는 컴포넌츠의 경우 AOS의 언어를 따라가면 괜찮았지만 위처럼 같은 컴포넌츠지만 ..
IOS App Programming/트러블 슈팅
2024. 7. 28. 15:27